본문 바로가기
생활

양치승 헬스장 사기 논란, 기부채납 제도의 허점

by opellious 2025. 9. 16.
728x90

안녕! 여러분!
🙂

최근 핫이슈로 떠오른
양치승 헬스장 사기 논란 들어보셨나요?

헬스장 피해 회원, 임차인, 건물주,
그리고 구청까지 얽힌 복잡한 사건인데,

오늘은 그 내용을 정리하고
제도적 허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사건 개요

최근 바디스페이스 환불 및 폐업한 양치승 관장


✅ 양치승 관장이 직접 운영하던 헬스장이
사기 의혹에 휘말림

✅ 건물은 원래 기부채납 조건이 붙은 시설이었음

✅ 구청(지자체)과 건물주 간의
복잡한 계약 구조 속에서
정작 임차인(헬스장 운영자)과 이용자(회원)는
보호 장치가 전혀 없는 상태


 

문제의 핵심

기부채납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


1️⃣ 기부채납 제도 허점
공공 목적이라며 기부채납을 받지만
이후 관리·감독은 사실상 부재

임차인은 제도적 보호 없이
리스크를 전가받을 수밖에 없음


2️⃣ 구청–건물주 커넥션
행정과 민간의 이해관계 속에서
투명하지 못한 계약 구조 발생

피해는 고스란히
선의의 임차인과 시민에게 돌아감


3️⃣ 피해 확산
헬스장 회원 → 이미 낸 수업료·PT비용 환불 불가
임차인 → 영업 중단 & 소송 리스크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지는데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은 전무


 

개인적인 생각

왜 항상 부동산 피해는 임차인과 소비자가 봐야하는가?


솔직히 이번 사건은
단순히 ‘헬스장 사기’ 문제가 아니다.

제도적 구멍이 얼마나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특히 기부채납 건물의 경우
지자체가 명확한 관리·감독 책임을 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앞으로도
수많은 임차인과 소비자가
피해자가 될 수밖에 없다.


 

지자체에 촉구한다

문을 닫은 바디스페이스 본점


더 늦기 전에,
지자체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안전한 부동산 제도와 관리 시스템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

✅ 기부채납 시설 관리·감독 강화
✅ 임차인 보호 장치 마련
✅ 피해자 구제 대책 신속 추진

피해자들의 고통이 더 커지기 전에
실질적인 대책이 나오길 바란다.

ADIOS. 🏋️‍♂️ 🏋️ 💪


양치승 관장의 마지막 유튜브 영상

 


 

#양치승 #헬스장사기 #기부채납
#임차인피해 #지자체대책 #부동산제도 #피해구제
#헬스장폐업 #사기피해 #사기피해자